한국 대통령, 주요 대기업 및 경제단체와 첫 회동…미국과의 무역 대응책 모색

공지사항

16/06/2025 10:43

6월 13일, 이재명 대한민국 신임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국내 5대 대기업 및 6대 경제단체 대표들과 첫 공식 회동을 가졌습니다.

Tổng thống Hàn Quốc lần đầu tiên họp với các tập đoàn và tổ chức kinh tế chủ chốt, tìm đối sách thương mại với Mỹ

이날 회의는 이재명 대통령이 6월 4일 취임한 이후 경제계 주요 인사들과 가진 첫 만남으로, 미국과의 무역 전쟁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과 한미 무역 협상 진행 상황, 경제 회복 전략 등에 대해 집중 논의하였습니다.


한미 ‘2+2 회담’ 예정, 관세 문제 논의

이번 회의에는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SK그룹 회장이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인 최태원, 현대자동차 정몽윤 회장, LG그룹 구광모 회장,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또한 한국경제연구원 류진 원장, 한국경영자총협회 손경식 회장, 한국무역협회 윤진식 회장, 중소기업중앙회 최진식 회장, 중소기업중앙회 김기문 회장 등 주요 경제단체 대표들도 자리했습니다.


대통령 “경제 안정과 기업 지원에 총력”

이재명 대통령은 회동에서 “대선 이후 한국 경제가 점차 안정되고 있다”며 “KOSPI 주가 상승은 새 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반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정부는 각 기업들이 국가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협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기업들이 안정적인 경영 환경을 유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대기업 회장들 “시장경제 원칙이 경제 회복의 열쇠”

삼성 이재용 회장은 “대통령이 강조하는 시장경제 원칙이 삼성뿐만 아니라 국내 대기업과 전체 기업 생태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현재 한국 경제 상황이 과거 금융위기와 유사한 복잡한 국면에 있지만,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면 이번 위기도 극복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20~30년 후를 내다보는 차세대 준비가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현대차 정몽윤 회장은 “한국의 모빌리티 산업이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미래 경쟁력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한경연 류진 원장은 “내수 진작을 통한 소비 회복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미 무역협상과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

회의의 핵심 주제 중 하나는 한미 무역 협상 진행 상황이었습니다. 참석자들은 현재 세계 무역 질서가 ‘미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 확산, 글로벌 공급망 분열 등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외교와 안보 활동을 통해 ‘경제 영토’와 기업 활동 영역을 넓히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이 대통령은 다음 주 예정된 G7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면담을 앞두고 관세 및 투자 관련 협상 방향에 대해 경제계 의견을 수렴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의 어려움과 정부의 제도 개선 의지

대기업 대표들은 높은 관세 부과와 잦은 정책 변화로 인해 투자 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회동에서 제도 및 금융 규제 개선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공정하고 투명하며 안전한 경제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불공정 경쟁이 계속되는 한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은 어렵다”며 “정부는 합리적인 규제 개선을 통해 공정한 시장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약속했습니다.


이번 회동은 한국 경제가 내외부 도전에 직면한 가운데, 정부와 기업이 한마음으로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태풍 코마이(코 메이) 연쇄 영향: 중국 상륙 후 한국에 폭우 유발

태풍 코마이(우리나라에서 제4호 태풍으로 불림)는 경로가 특이할 뿐 아니라 매우 먼 거리를 이동한 태풍입니다. 필리핀에 두 차례 상륙한 뒤 중국에 두 차례 상륙했고, 약화된 뒤에도 한국까지 이동해 극심한 폭우를 내렸습니다.
04-08-2025 공지사항
photo

한국, 북한과의 국경에서 대북 확성기 철거

한국이 북한과의 접경 지역에 설치된 대북 확성기를 철거하기 시작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 정부가 북한과의 대화를 재개하기 위한 다음 단계 조치로 평가된다.
04-08-2025 공지사항
photo

한국 집권 더불어민주당, 새 대표 선출

8월 2일, 정청래 국회의원이 한국 집권 더불어민주당(DP)의 신임 대표로 선출되었다. 이번 결과로 그는 지난 6월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재명 전 대표의 뒤를 이어 당을 이끌게 된다.
03-08-2025 공지사항
photo

한국, AI 기반 차세대 전력망 구축 착수

한국의 차세대 전력망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전력 생산, 저장 및 사용 과정을 최적화하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이다.
02-08-2025 공지사항
photo

전자결제 선불금 5년 미사용 시 자동 소멸…연간 5천억 원 ‘증발’ 현실화

전자결제 선불금 5년 미사용 시 자동 소멸…연간 5천억 원 ‘증발’ 현실화 여러분은 교통카드나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머니 등 전자결제 수단에 얼마를 충전했는지 기억하고 계신가요? 무심코 방치한 충전금이 5년 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법에 따라 자동으로 사라진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매년 약 5,290억 원이 이렇게 ‘증발’하고 있지만, 대부분 이용자는 이를 전혀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반부패민권위원회가 8월 1일 발표한 ‘전자결제 선불수단 이용자 권익 보호 계획’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4년 말까지 약 2,116억 원이 기간 만료로 인해 소멸됐고, 연평균 529억 원가량이 사용자 모르게 사라졌습니다. 지난해 12월 기준, 전자결제 선불수단을 이용한 일일 거래 건수는 3,300만 건을 넘을 정도로 보편화됐지만, 5년간 잔액을 사용하지 않으면 해당 금액은 소멸되어 발행사의 수익으로 귀속되며, 별도의 안내 없이 처리됩니다. 5월 실시한 위원회 조사에서 2,123명 중 64%가 5년 사용 기간 제한을 전혀 몰랐다고 답했습니다. 즉, 10명 중 6명 이상이 자신도 모르게 돈을 잃을 위험에 처한 셈입니다. 현행법상 5년 이내에는 잔액의 90%까지 환불받을 수 있지만, 이 권리를 아는 이용자는 극히 적습니다. 더 큰 문제는 기업이 사용자에게 기간 만료 전 알림을 의무화하지 않고, 이용약관이나 상품 설명에도 관련 내용이 충분히 안내되지 않아 이용자들이 무심코 잔액을 잃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이에 위원회는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최소 1년 전부터 이메일 또는 문자로 3회 이상 사전 안내, 실물카드에 기간 만료일을 굵고 큰 글씨로 표기, 이용약관과 가입 시 요약본 제공, 사용자 동의를 통한 연락처 수집 등을 제안했습니다. 현재 일부 서비스는 30일 전 사전 안내와 잔액의 90% 환불 가능성을 알리고 있으나, 이는 시장 전반에 적용되는 의무사항은 아닙니다. 또한 기간 만료된 잔액 처리 문제도 고민 중입니다. 신용카드 포인트는 5년 후 소멸돼 일부는 사회공헌기금으로 활용되고, 예·적금 및 보험 만기 금액은 저소득층 지원 기금으로 편입됩니다. 반면 전자결제 선불금은 이와 같은 공익적 활용 시스템이 없어, 위원회는 주기적 잔액 공개, 현황 평가, 사회 프로그램 활용 등 정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매년 수백억 원이 허공으로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02-08-2025 공지사항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