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유치원생도 시작하는 입시 준비

생활 이야기

16/06/2025 10:10

한국의 한 학원에서 유치원생들이 영어 문장을 쓰며 10여 년 후 치를 대학입시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31세 미국인 영어 교사 케리 슈나벨은 "large(큰)"의 동의어 5개를 넣어 5~8문장의 단락을 쓰라는 과제를 냈습니다. 아이들은 생각을 적기 시작했지만, 한 소녀는 산만해진 마음에 갑자기 큰 소리로 영어로 외쳤습니다. "냄새나는 문장을 쓰자!" 교실은 웃음바다가 되었고, 아이들은 합창하듯 "냄새! 냄새!"를 외쳤습니다.

정부가 3월에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치열한 교육 경쟁 속에서 한국 유치원생의 약 50%가 초등학교 입학 전에 영어를 비롯한 사교육 학원(hagwon)을 다니고 있습니다. 중고등학교에 진학하면 학교 수업과 더불어 밤 10~11시까지 학원 수업을 받는 것이 일상이 되며, 학부모들의 픽업 차량으로 인한 교통 체증은 서울에서 흔한 광경입니다.

Học sinh 4-5 tuổi trong lớp tiếng Anh của cô Keri Schnabel ở Seoul, Hàn Quốc. Ảnh: WP

이러한 현상은 명문대 입학이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안정적인 직장을 얻기 위한 '황금 티켓'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소득 격차가 커지고 미래 일자리 불안이 커지면서 부모들은 더 이른 시기에 입시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Khu vực khu vực la hét để học sinh giải tỏa trong phố học thêm Daechi, Seoul, Hàn Quốc. Ảnh: WP

서울의 한 부유한 지역 목동에 위치한 트윙클 어학원에서 슈나벨 교사의 유치원생 반은 미국 초등학교 2학년 수준의 영어 표현, 비유, 문장 구조를 배우고 있습니다. 수업이 끝날 무렵, 아이들은 미국 초등학교 3학년 수준의 서론-본론-결론 구조를 갖춘 2페이지 분량의 에세이를 써야 합니다.

대치동을 비롯한 서울 강남 부촌의 학원가에서는 월 1,400달러(약 190만 원)를 사교육에 쓰는 가정도 있습니다. 일부 학원은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고급 수학, 의대 준비 과정, 1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앉아 있는 연습까지 제공하며 경쟁을 부추깁니다. 이러한 과열은 아이들의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8세 이하 아동의 우울·불안 관련 건강보험 청구 건수는 최근 5년간 3배로 늘었습니다.

Bác sĩ Seo Dong-ju đọc truyện cho con trai 5 tuổi. Ảnh: WP

강남의 한 학부모는 "요즘 아이들은 놀이터가 아닌 학원에서 친구를 만난다"며 "부모로서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부모와 전문가들은 "이 문화는 큰 변화를 필요로 한다"며 아이들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한국, 조기 영어교육 열풍에 제동 건다

전국 17개 교육청이 모두 유아 대상 영어 조기 교육 제한에 찬성 의사를 밝히며, 한국 사회 전반에 퍼진 ‘영어 조기 학습 열풍’을 멈추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07-11-2025 생활 이야기
photo

수십 건의 입사 지원에도 불구하고 일자리를 얻지 못한 한국 청년들이 사회로부터 ‘게으르다’는 낙인을 받고 있다.

치열한 경쟁과 불안정한 노동 시장 속에서 성실히 노력한 청년들이 ‘무기력 세대’로 불리는 현실은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05-11-2025 생활 이야기
photo

대구 상가 건물서 푸들 30여 마리 방치… 17마리는 이미 사망

대구 상가 건물서 푸들 30여 마리 방치… 17마리는 이미 사망 대구 서구의 한 상가 건물에서 30마리가 넘는 푸들이 열악한 환경에 방치된 채 발견되어 충격을 주고 있다. 구조대가 현장에 진입했을 때, 바닥에는 무릎 높이까지 쌓인 배설물과 쓰레기, 그리고 심한 악취 속에 17마리의 죽은 개가 섞여 있었다. 동물구조협회에 따르면, 해당 건물에서는 총 36마리의 푸들이 발견됐다. 이들은 충분한 먹이와 물을 제공받지 못했으며, 중성화 수술도 이루어지지 않은 채 오랜 기간 사체와 함께 생활한 것으로 확인됐다. 견주는 3년 전 이 건물을 임대했으나 주민등록을 하지 않았고, 거의 방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건물 내부는 사실상 방치된 지옥과도 같은 공간으로 변했다. 지역 주민과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으로 5마리는 임시 보호소로 옮겨졌고, 나머지 개들은 입양을 기다리고 있다. 시민들은 담요, 사료 등을 기부하고 직접 목욕과 미용을 도우며 구조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경찰은 해당 여성에 대해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고, 사망한 개들의 정확한 사인을 조사 중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유사 사건에서 “동물은 개인의 재산”이라는 이유로 법적 책임을 회피하는 경우가 많아 처벌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애니멀 호더(animal hoarder)’ 현상이 단순한 방치가 아닌 심리적 장애의 표현이라고 분석했다. 대구대학교 서병부 교수는 “정신적 위기를 겪는 사람들이 과도한 동물 사육을 통해 심리적 결핍을 보상하려는 경우가 있다”며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심리 치료와 함께 책임 있는 반려동물 양육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04-11-2025 교류 및 생활
photo

서울시, ‘킥보드 없는 거리’ 시범사업 긍정적… 확대 시행 검토

서울시, ‘킥보드 없는 거리’ 시범사업 긍정적… 확대 시행 검토 서울시가 마포구와 서초구에서 실시한 ‘킥보드 없는 거리’ 시범사업 결과, 시민 대부분이 보행 안전성과 보행 환경이 개선됐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는 보행자 밀집 지역이나 사고 위험이 높은 구역을 중심으로 사업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8월 마포·서초 시범구역 인근 주민 500명(18~60세)**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7%가 충돌 위험이 줄었다, 69%가 보행 환경이 좋아졌다, 그리고 80% 이상이 전동킥보드 방치가 크게 감소했다고 답했다. 또한, 98.4%의 시민이 확대 시행에 찬성했으며, 2.6%만이 불편함을 느낀다고 밝혔다. 시범사업은 올해 5월부터 시행됐으며,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km)**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 일대(2.3km)**에서 낮 12시부터 밤 11시까지 운영되고 있다. 해당 구역 내에서는 전동킥보드, 전동이륜차, 전기자전거 등의 통행이 전면 금지된다. 위반 시, 일반 도로에서는 벌금 3만 원 및 면허 벌점 15점,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벌금 6만 원 및 벌점 30점이 부과될 수 있다. 현재 경찰은 계도 기간을 운영 중이며, 시민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중심의 단속을 이어가고 있다.
04-11-2025 교류 및 생활
photo

한국 여성, 치킨과 탄산음료를 먹으면서도 30kg 감량 성공

닭튀김과 탄산음료를 포기하지 않고도 85kg에서 55kg으로 30kg을 감량한 한국 여성 서유진(Seo Yujin)의 다이어트 비결이 화제다. 그녀는 단순하지만 꾸준히 실천 가능한 식습관과 운동법 4가지를 통해 체중 감량에 성공했다고 TVBS가 10월 31일 보도했다.
04-11-2025 생활 이야기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