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1년 후, 한국 인근 해역 방사능 농도 발표

일반 소식

19/05/2025 12:13

후쿠시마 원전은 2023년 8월부터 총 7차례에 걸쳐 처리된 오염수를 해양으로 방류했으며, 현재 8차 방류가 진행 중입니다.

이 기간 동안 한국 정부는 총 49,633건의 방사능 농도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한국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종문 국무조정실 사회조정실장은 “연안 해역과 어장, 선박 평형수 등에 대한 검사 결과, 모두 방사능 안전 기준을 초과한 사례는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김 실장은 “오염수 방류에 따른 국민 불안으로 인해 해산물 소비나 비축량이 급감한 현상도 관측되지 않았다”며 국민들의 우려도 현재로선 크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실장은 “이러한 방류는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며 국민 건강과 안전에 직결되는 사안인 만큼, 정부는 앞으로도 방류 과정 전반에 대해 철저히 감시하고 관리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의 배경

2011년 3월 일본에서 발생한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전력 공급 및 냉각 시스템이 마비되었고, **도쿄전력(TEPCO)**은 원자로를 냉각한 후 발생한 100만 톤 이상의 방사성 오염수를 저장 탱크에 보관해 왔습니다.

이 오염수는 대부분의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다핵종 제거설비(ALPS)**로 처리된 후 방류되었으며, 트리튬이라는 물질만은 남아있습니다.
트리튬은 다른 방사성 물질보다 인체에 해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 정부는 이를 1/40로 희석하여 방류 기준치 이하로 조정한 뒤, 해저 1km 길이의 관을 통해 태평양에 방류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바닷물에 희석된 트리튬의 농도는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없는 극소량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CT그룹-에어빌리티, 한국에서 UAV 시험비행 실시

베트남 CT그룹 산하 CT UAV와 한국 에어빌리티가 지난 9월 18일 충남 보령 시험비행장에서 무인항공기(UAV) 시제기의 시험비행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22-09-2025 공지사항
photo

베트남-한국, 반도체 기술 이전 협력 본격화

베트남 과학기술부 정보통신산업국과 한국 무팹 반도체 설계산업협회(KFIA)는 최근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인력 양성, 기술 이전, 연구개발(R&D) 협력, 정보 교류, 반도체 생태계 조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22-09-2025 공지사항
photo

베트남 카메라 모듈 생산에 ‘혁신’… LG이노텍, 하이퐁 V3 공장 준공

한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LG이노텍이 베트남에서 카메라 모듈 생산 공장을 추가로 완공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이는 한국과 베트남 양국에 걸친 이원화 생산 체제를 통해 비용 효율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22-09-2025 공지사항
photo

이재명 대통령, ‘스마트 군대’ 구축 위한 국방 개혁 추진

이재명 대통령은 9월 21일 “대한민국을 어떤 침략에도 스스로 지킬 수 있는 독립적이고 스마트한 군대로 재편하겠다”며 강력한 국방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2-09-2025 공지사항
photo

한국 통일교 지도자, 김건희 전 영부인에 대한 뇌물 공여 혐의로 소환 조사

한국에서 영향력이 큰 종교 단체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의 한학자 총재가 김건희 전 영부인에게 뇌물을 제공한 혐의와 관련해 특별검사팀의 조사를 받았다.
18-09-2025 공지사항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