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아시아 자유와 존엄의 상징

공지사항

19/05/2025 23:44

광주, 아시아 자유와 존엄의 상징

“광주는 아시아의 자유와 존엄을 향한 열망의 상징입니다. 폭력과 두려움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 땅에서 우리는 5·18을 통해 민주화의 열망을 배웠습니다.”

이는 2025 광주인권상 본상 수상자인 패트릭 버지스 아시아 정의와 권리(AJAR) 회장이 지난 5월 16일 광주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전한 말이다. 그는 광주를 “진실을 기억하고 독재에 맞서는 법을 보여준 도시”라고 표현하며, 이 도시의 정신이 아시아 전역의 시민사회에 강력한 용기를 준다고 강조했다.

AJAR은 2010년에 설립된 국제 인권 단체로,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등 국가폭력과 대규모 인권 침해를 겪은 생존자들과 함께 진실 규명, 정의 실현, 회복과 치유를 위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본부는 자카르타에 있으며, 미얀마 국경 지역과 로힝야 난민 캠프 등지에서 인권 교육을 시행하고, 납치된 동티모르 아동 170여 명의 가족 상봉을 성사시키는 등 실천적인 정의 회복의 모델을 만들어 왔다.

또한 유엔과 국제형사재판소(ICC) 등 국제 기구와 협력해 미얀마 군부 폭력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세계에 알리고, 로힝야 난민들의 자립과 연대를 위한 기반을 다지는 활동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2025 광주인권상 특별상은 DKK 문화동맹(DKK Cultural Alliance)에게 돌아갔다. 이 단체는 1991년 필리핀 루손섬 지진 피해 복구 공연을 계기로 결성된 문화예술운동 연합체로, 음악, 연극, 벽화 등 예술을 통해 원주민 권리 보호, 환경 파괴와 군사화에 대한 저항 등 인권 운동을 이끌어 왔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태풍 코마이(코 메이) 연쇄 영향: 중국 상륙 후 한국에 폭우 유발

태풍 코마이(우리나라에서 제4호 태풍으로 불림)는 경로가 특이할 뿐 아니라 매우 먼 거리를 이동한 태풍입니다. 필리핀에 두 차례 상륙한 뒤 중국에 두 차례 상륙했고, 약화된 뒤에도 한국까지 이동해 극심한 폭우를 내렸습니다.
04-08-2025 공지사항
photo

한국, 북한과의 국경에서 대북 확성기 철거

한국이 북한과의 접경 지역에 설치된 대북 확성기를 철거하기 시작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 정부가 북한과의 대화를 재개하기 위한 다음 단계 조치로 평가된다.
04-08-2025 공지사항
photo

한국 집권 더불어민주당, 새 대표 선출

8월 2일, 정청래 국회의원이 한국 집권 더불어민주당(DP)의 신임 대표로 선출되었다. 이번 결과로 그는 지난 6월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재명 전 대표의 뒤를 이어 당을 이끌게 된다.
03-08-2025 공지사항
photo

한국, AI 기반 차세대 전력망 구축 착수

한국의 차세대 전력망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전력 생산, 저장 및 사용 과정을 최적화하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이다.
02-08-2025 공지사항
photo

전자결제 선불금 5년 미사용 시 자동 소멸…연간 5천억 원 ‘증발’ 현실화

전자결제 선불금 5년 미사용 시 자동 소멸…연간 5천억 원 ‘증발’ 현실화 여러분은 교통카드나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머니 등 전자결제 수단에 얼마를 충전했는지 기억하고 계신가요? 무심코 방치한 충전금이 5년 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법에 따라 자동으로 사라진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매년 약 5,290억 원이 이렇게 ‘증발’하고 있지만, 대부분 이용자는 이를 전혀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반부패민권위원회가 8월 1일 발표한 ‘전자결제 선불수단 이용자 권익 보호 계획’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4년 말까지 약 2,116억 원이 기간 만료로 인해 소멸됐고, 연평균 529억 원가량이 사용자 모르게 사라졌습니다. 지난해 12월 기준, 전자결제 선불수단을 이용한 일일 거래 건수는 3,300만 건을 넘을 정도로 보편화됐지만, 5년간 잔액을 사용하지 않으면 해당 금액은 소멸되어 발행사의 수익으로 귀속되며, 별도의 안내 없이 처리됩니다. 5월 실시한 위원회 조사에서 2,123명 중 64%가 5년 사용 기간 제한을 전혀 몰랐다고 답했습니다. 즉, 10명 중 6명 이상이 자신도 모르게 돈을 잃을 위험에 처한 셈입니다. 현행법상 5년 이내에는 잔액의 90%까지 환불받을 수 있지만, 이 권리를 아는 이용자는 극히 적습니다. 더 큰 문제는 기업이 사용자에게 기간 만료 전 알림을 의무화하지 않고, 이용약관이나 상품 설명에도 관련 내용이 충분히 안내되지 않아 이용자들이 무심코 잔액을 잃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이에 위원회는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최소 1년 전부터 이메일 또는 문자로 3회 이상 사전 안내, 실물카드에 기간 만료일을 굵고 큰 글씨로 표기, 이용약관과 가입 시 요약본 제공, 사용자 동의를 통한 연락처 수집 등을 제안했습니다. 현재 일부 서비스는 30일 전 사전 안내와 잔액의 90% 환불 가능성을 알리고 있으나, 이는 시장 전반에 적용되는 의무사항은 아닙니다. 또한 기간 만료된 잔액 처리 문제도 고민 중입니다. 신용카드 포인트는 5년 후 소멸돼 일부는 사회공헌기금으로 활용되고, 예·적금 및 보험 만기 금액은 저소득층 지원 기금으로 편입됩니다. 반면 전자결제 선불금은 이와 같은 공익적 활용 시스템이 없어, 위원회는 주기적 잔액 공개, 현황 평가, 사회 프로그램 활용 등 정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매년 수백억 원이 허공으로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02-08-2025 공지사항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