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한 미군 철수 제안… 중국 견제 위한 전략 재편

공지사항

10/07/2025 22:53

워싱턴 소재의 한 연구기관이 미국이 주한 미군 병력을 대폭 감축하고 지상 전투 부대를 전면 철수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제안은 중국 견제를 위한 군사 전략 재편의 일환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동맹국들에게 더 많은 방위 책임을 요구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Binh sĩ Mỹ tham gia tập trận quân sự ở Hàn Quốc vào năm 2023. Ảnh: Yonhap.

워싱턴에 본부를 둔 싱크탱크 ‘디펜스 프라이어리티(Defense Priorities)’는 지난 7월 9일 ‘미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글로벌 군사 배치 조정’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주한 미군 병력을 현재 약 2만8,500명에서 1만 명 수준으로 감축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보고서는 미국 국방부가 한반도 내 군사적 존재를 줄이고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중국 견제에 집중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댄 콜드웰(Dan Caldwell) 전 국방부 고문과 제니퍼 카바나(Jennifer Kavanagh) 군사 전략 분석가는, 주한 미군 중 지상 전투 부대, 지휘·정보·통신부대, 그리고 일부 공군·육군의 지원 부대들을 철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전투 병력 철수하고 후방 지원에 집중”

보고서는 제2보병사단을 포함한 순환배치 여단과 전투 부대를 철수하고, 남아 있는 병력은 후방 물류, 정비, 보급에 집중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아울러 한국 내 공군기지에 주둔 중인 두 개의 전투기 비행대대 중 하나를 미국 본토로 복귀시키고, 유지·보수 인력 중 약 1/3도 철수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만약 이러한 제안이 실행될 경우, 주한 미군은 약 1만 명 수준으로 줄어들고, 전투보다는 지원 역할에 초점을 맞추게 됩니다. 이에 따라 한반도에서 유사시 발생할 군사적 충돌에 대한 주요 대응 책임은 한국군이 맡게 된다는 설명입니다.

미군 기지 사용권 제한에 대한 우려

디펜스 프라이어리티는 한국이 미군의 기지를 인도·태평양 지역 내 다른 분쟁에 활용하도록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습니다. 보고서는 “지역 내 전쟁이 발발할 경우, 주한 미군이 관여하지 못할 수 있다”며 전략적 유연성 부족을 지적했습니다.

앞서 5월,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국방부가 주한 미군 4,500명을 철수해 괌 등 다른 지역으로 재배치할 가능성을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국방부는 해당 보도를 부인하며 “한국 방위에 대한 미국의 공약은 완전하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견제를 위한 전략적 재조정

보고서의 저자들은 “미국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군사 배치를 재조정해 중국과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미국은 동맹국인 일본과 필리핀에 더 많은 방위 책임을 맡기고, 중국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으로 군 병력을 이동시켜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보고서는 미국의 군사 전략 목표로 ▲영토 방위, ▲지역 강대국의 부상 억제, ▲동맹과의 책임 분담, ▲경제 안보 수호의 네 가지를 제시했습니다. 특히 “중국이 아직 지역을 지배할 수준은 아니지만, 미국의 영향력 유지에는 위협이 된다”고 평가하며, 이에 맞는 군사 재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Trực thăng tấn công Apache của Mỹ tham gia tập trận bắn đạn thật ở phía bắc thủ đô Seoul, Hàn Quốc vào ngày 10/2/2025. Ảnh: Yonhap.

백악관의 반응 주목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카바나 박사는 이 보고서가 이미 워싱턴의 정책 결정자들에게 광범위하게 공유되었으며, 향후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 관계자들과의 직접 논의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매튜 휘터커 주나토 미국 대사는 “미군의 글로벌 주둔 현황에 대한 검토는 늦여름 또는 초가을에 완료될 예정”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전략 수립을 주도할 주요 인물로는 엘브리지 콜비 국방부 정책 담당 차관이 거론되고 있으며, 그는 지난해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주한 미군은 북한 대응뿐만 아니라 중국 견제를 고려한 방향으로 역할이 조정되어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습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CT그룹-에어빌리티, 한국에서 UAV 시험비행 실시

베트남 CT그룹 산하 CT UAV와 한국 에어빌리티가 지난 9월 18일 충남 보령 시험비행장에서 무인항공기(UAV) 시제기의 시험비행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22-09-2025 공지사항
photo

베트남-한국, 반도체 기술 이전 협력 본격화

베트남 과학기술부 정보통신산업국과 한국 무팹 반도체 설계산업협회(KFIA)는 최근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인력 양성, 기술 이전, 연구개발(R&D) 협력, 정보 교류, 반도체 생태계 조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22-09-2025 공지사항
photo

베트남 카메라 모듈 생산에 ‘혁신’… LG이노텍, 하이퐁 V3 공장 준공

한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LG이노텍이 베트남에서 카메라 모듈 생산 공장을 추가로 완공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이는 한국과 베트남 양국에 걸친 이원화 생산 체제를 통해 비용 효율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22-09-2025 공지사항
photo

이재명 대통령, ‘스마트 군대’ 구축 위한 국방 개혁 추진

이재명 대통령은 9월 21일 “대한민국을 어떤 침략에도 스스로 지킬 수 있는 독립적이고 스마트한 군대로 재편하겠다”며 강력한 국방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2-09-2025 공지사항
photo

한국 통일교 지도자, 김건희 전 영부인에 대한 뇌물 공여 혐의로 소환 조사

한국에서 영향력이 큰 종교 단체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의 한학자 총재가 김건희 전 영부인에게 뇌물을 제공한 혐의와 관련해 특별검사팀의 조사를 받았다.
18-09-2025 공지사항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