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룽끄엉(Lương Cường) 국가주석이 한국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제32차 정상주간 및 양자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공지사항

02/11/2025 10:56

룽끄엉 주석은 10월 29일부터 11월 1일까지 이재명 대한민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경주에서 열린 APEC 정상주간에 참석하고, 부산 등지에서 양자 일정을 진행한 뒤 1일(현지시간) 저녁 부산 김해국제공항을 통해 귀국길에 올랐다.

Chủ tịch nước Lương Cường kết thúc tốt đẹp chuyến công tác tham dự Tuần lễ cấp cao APEC tại Hàn Quốc - Ảnh 1.

출국 현장에는 한국 측에서 최형찬 외교안보연구원장과 부산시 관계자들이 배웅에 나섰으며, 베트남 측에서는 주한 베트남 대사 부 호(Vũ Hồ)와 주부산 총영사 도안 프엉란(Đoàn Phương Lan), 그리고 주한 베트남 외교공관 직원들이 함께했다.

이번 APEC 정상주간 기간 동안 룽끄엉 주석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중국 시진핑(习近平) 국가주석을 비롯한 주요 APEC 회원국 정상들과 연쇄 회담을 갖고, 글로벌 주요 기업 및 재계 인사들과도 폭넓게 교류했다.

특히 주석은 APEC 정상회의 본회의 및 APEC 기업정상회의(ABAC 2025) 등 주요 세션에 참석해 베트남의 입장과 비전을 밝히는 여러 중요 연설을 진행했다.
룽끄엉 주석은 회의 발언을 통해 APEC이 직면한 새로운 도전과제를 함께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아·태 지역의 포용적 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혁신적 제안을 내놓았다.

주석은 또한 베트남의 잠재력과 강점, 그리고 최근 추진 중인 주요 전략과 개혁 방향을 국제사회에 전달하며, 세계 각국이 베트남의 발전 여정에 동참하고 지속적으로 협력할 것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금융, 과학기술, 녹색전환 및 디지털전환 분야에서의 협력을 통한 새로운 성장 모델 구축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번 방문은 베트남이 ‘수용’ 중심의 외교에서 ‘기여’ 중심으로, 단순한 통합에서 심화되고 주도적인 국제협력으로 나아가는 외교 노선의 전환을 상징한다.
또한 베트남이 후발국 이미지를 벗어나, 새로운 산업과 기술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점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

룽끄엉 주석의 한국 방문은 베트남과 한국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더욱 심화시키는 동시에, 베트남의 사회·경제 발전 목표를 위한 국제적 자원과 협력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된 것으로 평가된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중국 시진핑 주석, 이재명 대통령에게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

중국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진행된 한·중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에게 중국 샤오미(Xiaomi) 스마트폰 2대와 전통 서예 도구 세트를 선물했다.
03-11-2025 공지사항
photo

한국, 시진핑 주석에 대북 중재 역할 요청

이재명 대통령, 한중 관계의 중요성 강조… “남북 대화 재개 위한 전략적 협력 기대”
02-11-2025 공지사항
photo

부산, 호찌민시와 항만·조선·관광 분야 협력 강화

대한민국 제2의 경제 중심지이자 세계 5대 항만 도시인 부산을 베트남의 량끄엉(Lương Cường) 국가주석이 방문했다.
02-11-2025 공지사항
photo

삼성·현대·엔비디아 수장, 깐부치킨에서 만났다…SNS “폭발적 반응”

삼성·현대·엔비디아 수장, 깐부치킨에서 만났다…SNS “폭발적 반응” 10월 30일 밤, 서울 강남의 깐부치킨 매장에서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이 함께 맥주잔을 들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며 한국 SNS가 들썩였다. 회의실도, 공식 행사도 아닌, 치킨과 맥주가 놓인 소박한 테이블 위에서 세계 AI·반도체·전기차 산업을 대표하는 세 인물이 나란히 앉아 대화를 나누는 모습은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다. 한국인에게 깐부치킨은 단순한 프랜차이즈가 아니라 ‘영혼의 음식’으로 통한다. 바삭한 황금빛 튀김옷, 육즙 가득한 속살, 마늘과 간장의 진한 풍미, 여기에 시원한 맥주와 새콤한 무 절임이 더해지면 완벽한 ‘힐링 세트’가 완성된다. 세 거물의 ‘치맥 회동’ 사진은 순식간에 온라인을 뜨겁게 달구었으며, 누리꾼들은 “혹시 전략적 협력을 논의하는 건가, 아니면 마늘맛이 더 맛있는지 두고 토론 중인가?”라며 유쾌한 반응을 보였다.
31-10-2025 공지사항
photo

이재명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대한민국 최고 영예 무궁화대훈장 수여

이재명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대한민국 최고 영예 무궁화대훈장 수여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29일,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국빈 방문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대한민국 최고 등급의 훈장인 무궁화대훈장을 수여했다. 수여식은 경주국립박물관에서 엄숙히 진행되었으며, 이 대통령은 훈장과 함께 천마총 금관 모형을 직접 전달하며 “이 선물은 대한민국 국민의 깊은 감사의 마음을 담고 있다”고 전했다. 무궁화대훈장은 대한민국에서 외국 원수에게 수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등급의 훈장으로, 한미 간 안보 협력 및 우호 관계 증진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된 인물에게만 주어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훈장을 받은 최초의 미국 대통령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이 영예로운 선물을 소중히 간직하겠다. 한미 양국은 이 상징을 통해 더욱 굳건한 동맹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조폐공사에 따르면, 무궁화대훈장은 통상 두 세트로 제작되며 완성까지 약 두 달이 소요된다. 한국 언론은 이번에 수여된 훈장이 ‘긴급 수여용 예비 제작본’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무궁화대훈장은 상징적 의미뿐 아니라 재료 면에서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제작에는 금 190돈(약 712.5g), 은 110돈(약 412.5g)이 사용되며, 루비·자수정 등 보석과 화려한 칠보 기법이 더해진다. 금값 상승으로 인해 금 재료비만 약 1억 3천만 원(10월 29일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고로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가 퇴임 당시 수여받은 무궁화대훈장의 제작비는 세트당 약 6,823만 원이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선물이 트럼프 대통령의 ‘황금 애호’ 성향을 고려한 외교적 세심함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특히 전날 일본의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황금 골프공’을 선물한 바 있어, 동북아 외교 무대에서의 상징적 경쟁이 주목받고 있다.
31-10-2025 공지사항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