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찌민시-인천시, 교류와 협력 강화

교류 및 생활

28/10/2025 09:32

27일 오전, 호찌민시 인민의회 보 반 민(Võ Văn Minh) 의장은 정해권(Jung Hai Kwon) 인천광역시의회 의장을 단장으로 한 대표단을 접견했다. 이 자리에는 쩐 티 지에우 투이(Trần Thị Diệu Thúy) 호찌민시 인민위원회 부위원장과 권태한 주호찌민 대한민국 총영사 대리도 함께했다.

IMG_20251027_130125.jpg

보 반 민 의장은 인천시 대표단의 방문을 환영하며 “이번 만남은 양 도시 간의 우호와 실질적 협력 관계를 더욱 심화시키는 중요한 계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2022년 말 한-베 수교 30주년을 기점으로 양국 관계가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이후, 특히 2025년 8월 쪼럼(Trọng Lâm) 총서기의 한국 국빈 방문은 양국 협력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보 의장에 따르면, 현재 한국은 호찌민시의 네 번째 규모 외국인 투자국으로, 총 2,300여 개 유효 프로젝트에 누적 투자액이 약 55억 달러에 달한다. 또한 약 10만 명의 한국인이 호찌민시에 거주하며 양국 간 교류와 협력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보 의장은 “인천은 한국의 대표적 산업·항만·항공 중심지로서 호찌민시와 유사한 도시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물류·항만 인프라·도시개발·스마트 서비스 분야 등에서 협력 잠재력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행정 구역 재편과 확장을 거쳐 인구 약 1,400만 명 규모로 성장한 호찌민시는 국가 GDP의 25%, 재정 수입의 3분의 1을 차지한다”며 “호찌민시는 인천의 발전 경험을 공유받고, 무역·기술·환경·의료·교육·문화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확대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정해권 인천시의회 의장은 “2017년 양 도시가 우호협력협정을 체결한 이후 8년 동안 다양한 협력사업이 추진되어 왔다”며 “특히 호찌민시 어린이 심장수술 지원 프로그램, 문화·교육 교류 활동 등은 양 도시의 우정을 상징하는 대표적 사례”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방문을 계기로 인천과 호찌민, 두 도시가 산업·상업·문화의 활력 있는 중심지로서 새로운 협력의 장을 열어나가길 기대한다”며 “조만간 호찌민시 대표단이 인천을 방문해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논의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양측은 앞으로 고위급 인사 교류를 지속하고, 경제·과학기술·의료·인적 교류 등 실질적인 협력 프로젝트를 확대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를 통해 한-베 양국 간, 그리고 호찌민시와 인천시 간 우호 관계를 더욱 심화해 나갈 계획이다.


사진 설명:
보 반 민 호찌민시 인민의회 의장(왼쪽)이 정해권 인천시의회 의장에게 기념품을 전달하고 있다.
양 도시 대표단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THỤY VŨ / SGGPO)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한국 여성, 치킨과 탄산음료를 먹으면서도 30kg 감량 성공

닭튀김과 탄산음료를 포기하지 않고도 85kg에서 55kg으로 30kg을 감량한 한국 여성 서유진(Seo Yujin)의 다이어트 비결이 화제다. 그녀는 단순하지만 꾸준히 실천 가능한 식습관과 운동법 4가지를 통해 체중 감량에 성공했다고 TVBS가 10월 31일 보도했다.
04-11-2025 생활 이야기
photo

고령화로 인한 장례·사후 서비스 산업 일자리 급증

세계 최저 출산율과 인구 절반 이상이 50세 이상인 한국에서, 장례 및 사후 자산 관리 등 관련 서비스 수요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해지고 있다.
03-11-2025 생활 이야기
photo

인공지능이 한국 노동시장에서 세대 간 격차를 더욱 확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인공지능(AI)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젊은 세대의 일자리가 급감하고 있는 반면, 중·장년층의 고용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03-11-2025 생활 이야기
photo

버려진 아버지들 – 한 세대의 외로움

버려진 아버지들 – 한 세대의 외로움 한국의 한 대기업에서 평생을 일한 60대 남성이 최근 두 아들과 며느리, 손주들과 함께 떠난 동남아 가족 여행에 전 재산을 쏟아부었다. 3년 전 아내를 잃은 그는, 69번째 생일을 맞아 “칠순 전 선물 여행”을 제안한 자녀들의 말을 듣고 기쁜 마음으로 동행했다. 직접 항공권과 숙소를 예약하고, 가족 단체복까지 준비하며 설렘으로 가득했다. 그러나 여행지에서 그를 기다린 것은 따뜻한 추억이 아니라 깊은 고독이었다. 40도에 가까운 무더위 속, 수술 후 약해진 다리로 잠시 멈춰 땀을 닦자 아들이 짜증 섞인 목소리로 말했다. “뒤에 사람이 많아요, 아버지 때문에 못 가겠어요.” 다음 날, 자녀들은 더운 날씨를 이유로 “오늘은 호텔에서 쉬세요”라며 그를 남겨두고 나갔다. 며느리 한 명은 “우리도 아이 돌보느라 힘든데, 아버지까지 신경 쓸 여력은 없어요”라고 말했다. 그 후 그는 홀로 호텔방에 머물며 컵라면으로 끼니를 때웠다. 어느 날은 객실 카드키를 두고 나와, 몇 시간을 로비에서 기다리기도 했다. 서운함에 “서울로 먼저 돌아가겠다”고 말하자 자녀들은 미안하다 했지만, 다음 날도 상황은 똑같았다. “호텔에서 쉬세요, 아버지”라는 말이 이제는 상처처럼 남았다. 여행이 끝난 뒤에도 갈등은 이어졌다. 편의점을 운영하는 그는 며느리가 아이가 아프다며 조퇴를 요청하자 허락했지만, 규정에 따라 1시간 급여를 공제했다. 며느리는 격앙된 목소리로 말했다. “가족한테까지 그렇게 계산적이세요?” JTBC <사건현장> 프로그램에 출연한 그는 담담히 말했다. “집이랑 땅을 다 자식들에게 물려주려던 내가 바보 같아요. 요즘은 재산을 자선단체에 기부할까 고민 중입니다. 그게 마음이 더 편할 것 같아요.” 이에 한 심리학 교수는 조언했다. “지금은 재산보다 본인 삶에 집중해야 할 때입니다. 아직 늦지 않았어요. 사람들을 만나고, 취미를 즐기고, 새로운 인연을 찾아보세요.” 이 사연은 한 남성의 이야기이자, 한 세대의 초상이다. 가족을 위해 평생을 헌신했지만, 은퇴 후엔 자신이 만든 가정에서조차 ‘낯선 존재’가 되어버린 아버지들. 그들의 고독은 우리 사회가 다시 한번 ‘부모의 자리’를 되돌아보게 한다.
30-10-2025 교류 및 생활
photo

한국, 학생 정신건강 ‘적색경보’ 발령」

대한민국에서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아동·청소년 우울증 증가세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27-10-2025 생활 이야기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