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학생 정신건강 ‘적색경보’ 발령」

생활 이야기

27/10/2025 09:05

(교육뉴스) – 대한민국에서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아동·청소년 우울증 증가세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Từ năm 2021 đến nửa đầu năm nay, có hơn 2,2 triệu trẻ em và thanh thiếu niên Hàn Quốc được kê đơn thuốc điều trị tâm thần.

2021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220만여 명의 아동·청소년이 정신과 약물 처방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학교 내 정신건강 문제가 어느 때보다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주는 자료로, 사회 전반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아동의 ‘정서면역’ 저하 심각
최근 발표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 내 초등학생의 우울·불안 증상 비율이 수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조사는 서울특별시교육청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113개 초등학교 학생 3,754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된 이 연구에서 학생들은 정서·정신건강과 관련된 주제를 정해 토론하였다. 이를 통해 서울시교육청은 전문 정신건강 전문가들과 함께 초등학교 연령대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위험 징후를 분석했다.

자료에 따르면, 초등학생 중 우울증상 지수는 2021년 평균 0.51점에서 2022년 0.66점, 2023년 0.73점으로 연속 상승했다. 불안증상 지수 또한 같은 기간 0.44점 → 0.54점 → 0.58점으로 증가했다.
또한 정서민감성은 2021년 0.41점에서 2023년 0.49점으로, 비관성향은 0.17점에서 0.26점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러한 초등학생 정신건강 저하의 원인으로 학습 부담, 또래 관계 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사용, SNS 노출 증가, 수면 부족 등을 꼽았다.
보고서는 특히, 학생들이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 등 SNS 플랫폼에서 타인의 ‘빛나는’ 삶을 접하면서 자신의 삶과 비교해 열등감이나 자존감 저하를 느끼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런가 하면 또 다른 원인으로 과보호적 양육 태도가 지목됐다. 많은 부모가 자녀의 정서적 문제에 대해 작은 문제라도 즉각 개입하고 보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초등학생이 정서적 난관에 대응하는 경험이 축적되지 못해 ‘정서면역’이 약화된다는 분석이다.

다른 통계에 따르면, 아동·청소년 정신과 입원 치료 건수도 최근 4년간 두 배로 증가했으며, 주요 원인은 우울증이다.
더불어, 입원환자 중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및 정서장애(우울·불안 등)의 증가폭이 각기 +151%와 +87%로 급등했다.

2021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220만 건이 넘는 아동·청소년이 정신과 약물 처방을 받았고, 특히 초등학생(7~12세) 대상 항우울제 처방 건수는 2021년 1만8,800건에서 2024년 3만8,400건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영유아(0~6세) 대상 항정신병제 및 항우울제 처방률도 상승 추세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원인 서영석 의원은 “학교·지역사회 내 상담이나 심리치료보다 먼저 약물에 의존하게 되는 구조를 계속 유지할 수 없다”며 “보건복지부는 아동 정신건강 관리체계를 전면 평가하고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를 강화하는 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각성을 더하는 요인들

han-quoc-bao-dong-do-ve-suc-khoe-tam-than-hoc-sinh-1.jpg
초등학생뿐 아니라 중·고등학생에서도 우울증이 심화되고 있다. 부산에서 고등학생 3명이 동반 자살한 비극적 사건은 학습 압박이 청소년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적나라하게 보여줬다.
청소년 자살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지나친 학습 부담과 감정 표현을 장려하지 않는 문화가 청소년 우울증 확산의 주요 배경이라고 지적한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청소년(10대)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7.9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타 연령대 자살률은 감소 추세를 보인 반면, 청소년만 유독 증가했다.
사회조사 결과, 13~19세의 4.5%가 최근 자살 의향을 경험했으며, 이 중 32.9%가 학업부진·입시압박을 원인으로 꼽았다. 이어 신체·정신질환 (23.4%), 또래 괴롭힘·갈등 (12.6%), 외로움 (12.1%) 등이 뒤를 이었다.

이 같은 비극은 최근 몇 년간 반복되어 왔다. 2022년 인천에서 11학년 학생 두 명이 학습 부담을 호소하며 자살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전문가와 교육계는 한국 교육 시스템의 구조적 변화가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진단한다. 고등학교 진로 중심 교육, 학생부 기반 대학입시 제도 등이 학생들에게 조기부터 진로 압박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 원주현은 “진로 중심 교육이 장점도 있지만, 아직 명확한 방향을 찾지 못한 학생들은 오히려 소외될 수 있다”며 “성적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1학년 때의 작은 실수가 회복 불가능하다는 부담감을 학생들이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 청소년은 자살 징후를 외부에 잘 보이지 않는 문화적 특성이 있어, 부모·교사 등이 사전에 인지하고 개입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han-quoc-bao-dong-do-ve-suc-khoe-tam-than-hoc-sinh-2.jpg

의료진 이연정 교수(순천향대병원)는 “서구에서는 문제 청소년이 약물 남용이나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지만, 한국에서는 자살 의도를 가진 청소년이 매우 조용하고 평상시 모습과 다르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대통령 이재명 또한 청소년 자살 예방에 각별한 관심을 표명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청소년 정신건강이 국가적 우선 과제로 다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다만 그들은 단지 반응적 대책이 아닌 실질적인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경고한다.

“학생 자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시험 위주의 교육체제가 한계에 도달했다는 경고다. 우리는 성과 위주 교육모델을 버리고 학습의 즐거움과 개인 발달을 키우는 교육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성명에서 밝혔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한국 여성, 치킨과 탄산음료를 먹으면서도 30kg 감량 성공

닭튀김과 탄산음료를 포기하지 않고도 85kg에서 55kg으로 30kg을 감량한 한국 여성 서유진(Seo Yujin)의 다이어트 비결이 화제다. 그녀는 단순하지만 꾸준히 실천 가능한 식습관과 운동법 4가지를 통해 체중 감량에 성공했다고 TVBS가 10월 31일 보도했다.
04-11-2025 생활 이야기
photo

고령화로 인한 장례·사후 서비스 산업 일자리 급증

세계 최저 출산율과 인구 절반 이상이 50세 이상인 한국에서, 장례 및 사후 자산 관리 등 관련 서비스 수요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해지고 있다.
03-11-2025 생활 이야기
photo

인공지능이 한국 노동시장에서 세대 간 격차를 더욱 확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인공지능(AI)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젊은 세대의 일자리가 급감하고 있는 반면, 중·장년층의 고용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03-11-2025 생활 이야기
photo

버려진 아버지들 – 한 세대의 외로움

버려진 아버지들 – 한 세대의 외로움 한국의 한 대기업에서 평생을 일한 60대 남성이 최근 두 아들과 며느리, 손주들과 함께 떠난 동남아 가족 여행에 전 재산을 쏟아부었다. 3년 전 아내를 잃은 그는, 69번째 생일을 맞아 “칠순 전 선물 여행”을 제안한 자녀들의 말을 듣고 기쁜 마음으로 동행했다. 직접 항공권과 숙소를 예약하고, 가족 단체복까지 준비하며 설렘으로 가득했다. 그러나 여행지에서 그를 기다린 것은 따뜻한 추억이 아니라 깊은 고독이었다. 40도에 가까운 무더위 속, 수술 후 약해진 다리로 잠시 멈춰 땀을 닦자 아들이 짜증 섞인 목소리로 말했다. “뒤에 사람이 많아요, 아버지 때문에 못 가겠어요.” 다음 날, 자녀들은 더운 날씨를 이유로 “오늘은 호텔에서 쉬세요”라며 그를 남겨두고 나갔다. 며느리 한 명은 “우리도 아이 돌보느라 힘든데, 아버지까지 신경 쓸 여력은 없어요”라고 말했다. 그 후 그는 홀로 호텔방에 머물며 컵라면으로 끼니를 때웠다. 어느 날은 객실 카드키를 두고 나와, 몇 시간을 로비에서 기다리기도 했다. 서운함에 “서울로 먼저 돌아가겠다”고 말하자 자녀들은 미안하다 했지만, 다음 날도 상황은 똑같았다. “호텔에서 쉬세요, 아버지”라는 말이 이제는 상처처럼 남았다. 여행이 끝난 뒤에도 갈등은 이어졌다. 편의점을 운영하는 그는 며느리가 아이가 아프다며 조퇴를 요청하자 허락했지만, 규정에 따라 1시간 급여를 공제했다. 며느리는 격앙된 목소리로 말했다. “가족한테까지 그렇게 계산적이세요?” JTBC <사건현장> 프로그램에 출연한 그는 담담히 말했다. “집이랑 땅을 다 자식들에게 물려주려던 내가 바보 같아요. 요즘은 재산을 자선단체에 기부할까 고민 중입니다. 그게 마음이 더 편할 것 같아요.” 이에 한 심리학 교수는 조언했다. “지금은 재산보다 본인 삶에 집중해야 할 때입니다. 아직 늦지 않았어요. 사람들을 만나고, 취미를 즐기고, 새로운 인연을 찾아보세요.” 이 사연은 한 남성의 이야기이자, 한 세대의 초상이다. 가족을 위해 평생을 헌신했지만, 은퇴 후엔 자신이 만든 가정에서조차 ‘낯선 존재’가 되어버린 아버지들. 그들의 고독은 우리 사회가 다시 한번 ‘부모의 자리’를 되돌아보게 한다.
30-10-2025 교류 및 생활
photo

호찌민시-인천시, 교류와 협력 강화

호찌민시와 인천시가 양 도시 간 우호협력 관계를 한층 더 강화하기 위한 논의를 가졌다.
28-10-2025 교류 및 생활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