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원자폭탄 피해자에 대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

생활 이야기

05/08/2025 10:00

VOV.VN -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서 발생한 원자폭탄 피해자 중 일본인 수십만 명 외에도 수많은 한국인들이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까지도 이들은 물질적·정신적으로 어려운 삶을 살고 있습니다.

한국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1945년 8월 6일과 9일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 피해자 가운데 한국에 거주하는 생존자는 2025년 7월 말 기준으로 1,587명에 달합니다.

이들은 1세대 피해자들이며, 그 자녀인 2세대 피해자는 약 2,5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관련 기관에 등록하지 않은 2세대와 3세대 피해자가 수십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nhung dieu it biet ve cac nan nhan cua bom nguyen tu nguoi han quoc hinh anh 1

![한국 원폭 피해자 위령제](이미지 출처: Jiji Press)
히로시마에서 열린 한국인 원자폭탄 피해자 위령제

2016년, 한국 정부는 원자폭탄 피해자 지원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시행하여 피해자들의 생활 여건 개선을 추진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대부분의 피해자들은 물질적·정신적으로 매우 열악한 상황에서 불안과 공포, 원인을 알 수 없는 질병에 시달리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세대 피해자의 8.6%는 부모의 방사능 노출로 인한 선천적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25.7%는 건강 상태가 매우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다가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 인해 2세대와 3세대 피해자들은 신분을 숨기고 살아야 하며, 사회적 압박을 피하기 위해 아예 관련 기관에 등록조차 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방사능이 인체에 수년, 심지어 수십 년 동안 잠복하여 백혈병, 선천성 기형 등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2세대 피해자들은 결혼, 출산,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현재 시행 중인 특별법은 1세대 피해자만을 지원 대상으로 하고 있어, 2세대와 3세대 피해자들은 여전히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묵묵히 감내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현재 한국 원자폭탄 피해자 협회는 정부에 해당 법률의 개정을 요구하며 모든 세대의 피해자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의료·사회복지 혜택을 더욱 확대하여 피해자들이 삶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촉구하고 있습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40대 한국인의 주요 사망 원인, ‘자살’이 암 제쳐

한국은 자살 문제의 심각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특히 경제·사회적으로 핵심 연령대인 40대에서 자살이 가장 큰 사망 원인으로 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01-10-2025 생활 이야기
photo

한국, 33년 만에 문신 합법화

1992년부터 한국에서는 문신 시술을 의료 행위로 규정해 의사 면허가 있는 사람만 문신 시술을 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수많은 문신 예술가들이 사실상 ‘불법’ 상태에서 활동하거나 해외로 나가야 했다.
01-10-2025 생활 이야기
photo

한국 숙취해소제 시장 ‘급성장’  

한국 사회에서 술자리는 일상적인 사회활동의 일부다. 이에 따라 ‘숙취 해소’ 수요를 겨냥한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통적인 해장국에서부터 현대적인 음료와 캡슐 제품에 이르기까지, 한국 숙취해소제 시장은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헛개나무(학명 *Hovenia dulcis*)가 자리 잡고 있다.  
30-09-2025 교류 및 생활
photo

저출산, 한국 경제 기적에 먹구름

한국의 합계출산율 하락세가 노동력 축소로 이어지면서 성장률, 생산성, 연금제도 전반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30-09-2025 생활 이야기
photo

화장실에 설치된 CCTV 화면 논란… 개인정보 침해 우려

화장실에 설치된 CCTV 화면 논란… 개인정보 침해 우려 지난해 말 한국도로공사는 전국 177개 휴게소 화장실에 700여 대의 모니터를 설치하는 데 3억9천만 원을 투입했다. 화장실을 이용하는 동안 주유 중인 차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설치 목적이었다. 일부 운전자는 급한 상황에서 유용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반년 만에 다수의 민원이 제기됐다. 카메라 화면에 차량뿐 아니라 사람들이 그대로 노출되면서 개인정보 침해와 사생활 침해 우려가 커진 것이다. 한 화물차 기사는 “화장실에 있는데 모니터로 다른 사람이 보이는 게 불쾌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법률 자문 결과, 해당 시스템은 범죄 예방 목적이 아닌 편의 제공에 불과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국회는 도로공사에 즉각적인 개선을 요구했으며, 민홍철 의원은 “정부로부터 1조 원이 넘는 지원금을 받으면서도 보안 검토를 소홀히 했다”고 비판했다. 이후 도로공사는 모든 카메라 영상 송출을 중단했다. 일부 모니터는 철거됐으며, 남은 장비는 교통안전 홍보 영상을 송출하는 용도로 전환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28-09-2025 교류 및 생활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