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AI 농업기술, 해남에서 현장 시연

교류 및 생활

20/06/2025 23:23

기후변화 대응 AI 농업기술, 해남에서 현장 시연

전남 해남군은 20일 해남 현산면 고현리 일대에서 농촌진흥청, 세종대학교, CJ제일제당, 농업인 등 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기후변화 대응 AI 농업기술 현장연시회를 개최했다.

장립종 벼 재배단지에서 열린 이번 시연회에서는 자율주행 농기계, 농림위성 및 드론 기반 AI 분석기술 등 기후변화 대응 첨단 기술이 소개돼 주목을 받았다.

농기계 자율주행 기술은 기존 농기계에 자율주행 장치를 장착해 직진은 물론 선회까지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작업 데이터를 축적하고 활용함으로써 정밀농업의 구현이 가능하다.

AI 분석기술은 농림위성과 드론을 통해 작황 분석, 토양 모니터링 등 실시간 생육 상태 점검을 가능케 한다.

이날 연시회에서는 장립종 벼 재배단지 조성 현황과 품종 육성 계획, 장립종 쌀 가공 현황에 대한 현장 브리핑도 진행됐다.

해남군은 매년 20만 톤 가량 과잉 생산되는 밥쌀 수급을 조절하기 위해 기존 단립종 대신 장립종을 활용한 수출용 전문 재배단지를 조성 중이다.

지난해 20헥타르에 이어 올해는 22농가가 참여해 100헥타르까지 확대되었으며, 장립종 전용 도정라인도 구축하고 있다.

CJ제일제당과 협력해 장립종 쌀을 활용한 상품밥 등 가공 적성 실증도 진행 중이다.

장립종 벼는 태국, 인도 등 동남아에서 주로 재배되며, 쌀알이 길고 가늘며 찰기가 적은 특징이 있다. 세계 쌀 유통시장의 90%를 차지하며, 아시안 푸드 확산과 쌀을 주식으로 하는 국가들의 인구 증가로 시장 규모가 매년 10% 이상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기후변화로 인해 장립종 재배 가능 지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기후변화 대응 신소득 작목과 AI 기반 정밀농업은 기후위기 시대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40대 한국인의 주요 사망 원인, ‘자살’이 암 제쳐

한국은 자살 문제의 심각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특히 경제·사회적으로 핵심 연령대인 40대에서 자살이 가장 큰 사망 원인으로 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01-10-2025 생활 이야기
photo

한국, 33년 만에 문신 합법화

1992년부터 한국에서는 문신 시술을 의료 행위로 규정해 의사 면허가 있는 사람만 문신 시술을 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수많은 문신 예술가들이 사실상 ‘불법’ 상태에서 활동하거나 해외로 나가야 했다.
01-10-2025 생활 이야기
photo

한국 숙취해소제 시장 ‘급성장’  

한국 사회에서 술자리는 일상적인 사회활동의 일부다. 이에 따라 ‘숙취 해소’ 수요를 겨냥한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통적인 해장국에서부터 현대적인 음료와 캡슐 제품에 이르기까지, 한국 숙취해소제 시장은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헛개나무(학명 *Hovenia dulcis*)가 자리 잡고 있다.  
30-09-2025 교류 및 생활
photo

저출산, 한국 경제 기적에 먹구름

한국의 합계출산율 하락세가 노동력 축소로 이어지면서 성장률, 생산성, 연금제도 전반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30-09-2025 생활 이야기
photo

화장실에 설치된 CCTV 화면 논란… 개인정보 침해 우려

화장실에 설치된 CCTV 화면 논란… 개인정보 침해 우려 지난해 말 한국도로공사는 전국 177개 휴게소 화장실에 700여 대의 모니터를 설치하는 데 3억9천만 원을 투입했다. 화장실을 이용하는 동안 주유 중인 차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설치 목적이었다. 일부 운전자는 급한 상황에서 유용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반년 만에 다수의 민원이 제기됐다. 카메라 화면에 차량뿐 아니라 사람들이 그대로 노출되면서 개인정보 침해와 사생활 침해 우려가 커진 것이다. 한 화물차 기사는 “화장실에 있는데 모니터로 다른 사람이 보이는 게 불쾌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법률 자문 결과, 해당 시스템은 범죄 예방 목적이 아닌 편의 제공에 불과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국회는 도로공사에 즉각적인 개선을 요구했으며, 민홍철 의원은 “정부로부터 1조 원이 넘는 지원금을 받으면서도 보안 검토를 소홀히 했다”고 비판했다. 이후 도로공사는 모든 카메라 영상 송출을 중단했다. 일부 모니터는 철거됐으며, 남은 장비는 교통안전 홍보 영상을 송출하는 용도로 전환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28-09-2025 교류 및 생활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