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비자 정책 변화로 영향을 받은 유학생들, 한국이 대안 유학지로 부상

교육 소식

03/06/2025 10:16

최근 미국 정부의 비자 정책 강화로 유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특히 하버드대학교 재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이 새로운 유학지로 주목받고 있다.


서울에 위치한 고려대학교 - 사진: usac.edu

**코리아타임스(Korea Times)**에 따르면, 고려대학교는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의 비자 정책 변화로 학업 및 연구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는 국제 학생 및 연구자들을 위한 특별 수용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일본과 홍콩(중국)을 포함한 일부 아시아 대학들의 유사한 움직임에 뒤이어, 한국 대학이 처음으로 발표한 지원 조치이다. 이들 지역에서는 대학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도 하버드를 비롯한 미국 대학에서 학업을 이어가기 어려운 국제 학생 유치를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고려대학교는 이번 발표를 통해 국제교류방문프로그램(SEVP, Student and Exchange Visitor Program)과 관련된 논란 속에 영향을 받은 학부생, 대학원생, 교수진 및 박사후 연구자(Post-doc)를 대상으로 하는 특별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갑작스러운 정책 변화로 불확실성과 혼란에 직면한 이들에게 학문적 연속성과 연구 기회를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둔다.

고려대학교는 연구자들에게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숙소와 기본 생활 여건을 지원하고, 연구 활동을 중단 없이 지속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또한 학부 및 대학원 학생들에게는 학점 인증서를 발급하고, 학업 연계 및 교환 프로그램을 통해 유연한 학업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상황이 개선될 경우 원 소속 학교로 복귀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할 예정이다.

학교 관계자는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은 확정되었으나, 구체적인 시행 일정 및 세부 사항은 현재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고려대학교 김동원 총장은 “현재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학업과 연구를 계속하고자 하는 우수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며, 고려대학교는 안정적인 학문 공동체로서 이들의 성장을 돕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한국 내 다른 주요 대학들의 반응도 주목되고 있다. 서울대학교는 아직 유사한 지원 계획이 없다고 밝혔고, 하버드대학교와 공식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한국 내 유일한 대학인 이화여자대학교도 현재로서는 별도의 대응 계획이 없다고 전했다.

연세대학교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아직 없지만, 기존 국제 인재 유치 시스템을 재검토 중이며, 미국 비자 정책 변화로 영향을 받은 유학생 지원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의지를 내비쳤다.

이번 고려대학교의 발표는 미국의 국제교육 및 이민 정책이 갈수록 강화되는 가운데,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고등교육기관들이 새로운 학문적 중심지로 도약하려는 전략적 전환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아직 많은 부분에서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고려대학교의 선제적 조치는 향후 한국 및 아시아권 대학들이 유사한 대응을 준비할 수 있는 선례가 될 수 있으며, 수천 명의 유학생과 연구자들에게 학업과 연구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베트남 통신사 TTXVN 제공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한국 문화 체험과 교류의 기회

지난 9월 20일 오후, 달랏대학교에서 달랏 킹세종학당이 제10회 세종한국어능력평가시험(SKA)을 개최했다. 이번 시험에는 달랏대학교, 예르신대학교 동방학과 학생들과 달랏 킹세종학당 수강생 등 총 139명이 응시했다.
22-09-2025 교육 - 유학
photo

한국, 대학 교육 이수율 17년 연속 OECD 1위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대학 교육 이수율 1위를 17년째 지켰다.
17-09-2025 교육 소식
photo

한국 내 외국인 유학생 수 사상 최고치 기록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 한국에서 대학 및 어학연수 과정을 밟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 수는 27만2천57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5% 증가한 수치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05-09-2025 교육 - 유학
photo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자퇴생 2,500명…18년 만에 최대치

지난 8월 말 정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고려대학교 등 이른바 ‘SKY’ 대학에서 약 2,500명이 자퇴하거나 학업을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보다 17% 증가한 수치로, 2006년 이후 18년 만에 최대 규모다.
05-09-2025 교육 - 유학
photo

2025년 전남광주 베트남인회 웹사이트 기사

2025년 한국정부 장학금 수혜, 또 한 명의 딴떤대학교 학생 배출  
26-08-2025 교육 - 유학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