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는 오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교육 - 유학

26/05/2025 00:23

광주광역시는 오는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1만2천명 시대를 목표로 하는 종합지원계획을 수립해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시는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 정착을 통해 지역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

광주시는 2029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1만2천명 유치와 정주율 1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유치 단계(지역 맞춤형 유학생 유치), 양성 단계(인재 양성 및 유학 생활 지원), 활용 단계(취업·창업 및 정주 지원) 등 3단계 13개 중점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광주글로벌허브센터 설립, 지역대학 공동 해외 유학 박람회 추진, 거점형 한국어센터 구축, 지역 특성에 맞춘 교육과정 운영, 산업 연계 인턴십 및 창업 지원, 맞춤형 체류비자 사업 등 유학생 유치부터 정착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시는 오는 6월 ‘해외 인재 유치 전략협의체’를 발족해 민·관·학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매년 중간 및 연차 점검을 통해 추진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김기숙 광주시 교육청년국장은 “단순히 유학생 수를 늘리는 데 그치지 않고, 글로벌 인재들이 광주에서 학업과 경력을 쌓고 지역사회의 핵심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2023년 기준 광주에는 6,339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재학 중이며, 지역 내 정주율은 5% 미만으로 추정된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한국 STEM 인재, 낮은 임금 탓에 해외로 유출 가속

매년 수만 명에 달하는 한국의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석·박사급 인재들이 낮은 보수를 이유로 해외로 떠나고 있다. 한국 내 STEM 연구자의 연평균 임금은 약 4만 달러에 불과한 반면, 미국에서는 이보다 약 세 배 가까이 높다.
06-11-2025 교육 - 유학
photo

4개월 만에 무너진 디지털 교과서의 꿈

‘스마트 교육’의 야심이 시행 4개월 만에 ‘신뢰 위기’로 추락했다.
17-10-2025 교육 소식
photo

한국 사범대 학생들, 교직 포기 잇따라

근무환경 악화·낮은 임금·취업난으로 이탈 가속화
14-10-2025 교육 소식
photo

한국 학생들, ‘미국 유학 신화’에 환멸… 아시아로 눈 돌리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의 불안정한 교육 및 이민 정책으로 인해, 오랫동안 미국을 ‘교육의 약속의 땅’으로 여겨왔던 한국 가정들이 서서히 서구 유학 계획을 재검토하고 있다.
13-10-2025 교육 소식
photo

한국, 2026년 한국어능력시험(TOPIK) 시행 계획 발표

내년부터 온라인 시험 실시 국가 13개국 → 17개국으로 확대
10-10-2025 교육 소식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