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한국 및 주요 파트너와의 협력 강화 기회

공지사항

29/10/2025 10:27

이재명 대한민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량궈엉(Lương Cường) 베트남 국가주석은 10월 29일부터 11월 1일까지 한국을 공식 방문하고, 제32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주간에 참석한다.

지난 35년간 발전해온 APEC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대표하는 핵심 경제협력체로, 무역과 투자의 자유화를 주도하며 지역 및 세계 경제 성장,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APEC은 세계 주요 경제 중심을 연결하며 공정하고 안정적인 무역·투자 흐름을 유지하고, 회원국과 기업, 국민에게 실질적 이익을 제공함으로써 지역 경제 통합과 연계를 강화해 왔다.

2025년 APEC의 주제는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구축(Building a Sustainable Tomorrow)”**으로, ‘연결성(Connectivity)’, ‘혁신(Innovation)’, ‘번영(Prosperity)’을 3대 우선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Cơ hội thúc đẩy hợp tác với APEC, Hàn Quốc và các đối tác


베트남-APEC 협력, 1998년 가입 이후 적극적 기여

베트남은 1998년 APEC에 공식 가입하여 대외개방·다변화·다자화 정책과 국제경제 통합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APEC은 베트남의 안보 및 발전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며, 베트남은 회원국으로서 지역의 평화, 안정, 협력, 경제 연계 강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해 왔다.

베트남은 2006년과 2017년 두 차례 APEC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주최한 소수 회원국 중 하나로, 주도적이고 책임 있는 참여로 APEC 내에서의 위상과 역할을 확립했다.


한-베 관계, ‘전략적 포괄동반자 관계’ 이후 실질적 발전

최근 몇 년간 베트남과 한국의 관계는 2022년 12월 **‘전략적 포괄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이후 정치·경제·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이고 포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2025년 8월 쩐럼(Trần Lâm) 총서기의 국빈 방한을 계기로 양국 간 정치적 신뢰가 한층 공고해졌다.

한국은 베트남의 주요 경제 파트너 중 하나로, 무역·투자·개발협력 등 여러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 방문 및 APEC 참석, 다자 협력 의지와 국제적 위상 강화

이번 량궈엉 주석의 한국 방문 및 APEC 정상주간 참석은 베트남이 다자 협력, 특히 APEC 협력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책임 있는 자세를 다시금 보여주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또한 베트남이 역내 및 국제사회에서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지속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아울러 이번 방문은 베트남이 역동적이고 개방적인 발전 국가로서 새로운 시대에 적극적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알리고, 국제 기업 및 투자자들에게 베트남의 경제·사회 발전 정책과 협력 기회를 소개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는 2027년 베트남의 APEC 의장국 개최를 위한 준비 과정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한-베 협력 심화 및 미래 협력 기반 마련

이번 공식 방문은 한국의 APEC 주최국 역할에 대한 베트남의 높이 평가와 신뢰를 보여주는 동시에, 양국 간 정치적 신뢰를 더욱 강화하고 다양한 분야의 실질 협력을 구체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경제·무역·투자·과학기술·국방·안보·인적 교류 등 여러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이 한층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 측은 이번 APEC 정상주간 참석 및 한국 공식 방문이 베트남과 APEC, 한국 및 국제 파트너 간 협력을 심화하고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역 및 세계의 공동 번영을 위한 긍정적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삼성·현대·엔비디아 수장, 깐부치킨에서 만났다…SNS “폭발적 반응”

삼성·현대·엔비디아 수장, 깐부치킨에서 만났다…SNS “폭발적 반응” 10월 30일 밤, 서울 강남의 깐부치킨 매장에서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이 함께 맥주잔을 들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며 한국 SNS가 들썩였다. 회의실도, 공식 행사도 아닌, 치킨과 맥주가 놓인 소박한 테이블 위에서 세계 AI·반도체·전기차 산업을 대표하는 세 인물이 나란히 앉아 대화를 나누는 모습은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다. 한국인에게 깐부치킨은 단순한 프랜차이즈가 아니라 ‘영혼의 음식’으로 통한다. 바삭한 황금빛 튀김옷, 육즙 가득한 속살, 마늘과 간장의 진한 풍미, 여기에 시원한 맥주와 새콤한 무 절임이 더해지면 완벽한 ‘힐링 세트’가 완성된다. 세 거물의 ‘치맥 회동’ 사진은 순식간에 온라인을 뜨겁게 달구었으며, 누리꾼들은 “혹시 전략적 협력을 논의하는 건가, 아니면 마늘맛이 더 맛있는지 두고 토론 중인가?”라며 유쾌한 반응을 보였다.
31-10-2025 공지사항
photo

이재명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대한민국 최고 영예 무궁화대훈장 수여

이재명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대한민국 최고 영예 무궁화대훈장 수여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29일,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국빈 방문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대한민국 최고 등급의 훈장인 무궁화대훈장을 수여했다. 수여식은 경주국립박물관에서 엄숙히 진행되었으며, 이 대통령은 훈장과 함께 천마총 금관 모형을 직접 전달하며 “이 선물은 대한민국 국민의 깊은 감사의 마음을 담고 있다”고 전했다. 무궁화대훈장은 대한민국에서 외국 원수에게 수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등급의 훈장으로, 한미 간 안보 협력 및 우호 관계 증진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된 인물에게만 주어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훈장을 받은 최초의 미국 대통령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이 영예로운 선물을 소중히 간직하겠다. 한미 양국은 이 상징을 통해 더욱 굳건한 동맹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조폐공사에 따르면, 무궁화대훈장은 통상 두 세트로 제작되며 완성까지 약 두 달이 소요된다. 한국 언론은 이번에 수여된 훈장이 ‘긴급 수여용 예비 제작본’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무궁화대훈장은 상징적 의미뿐 아니라 재료 면에서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제작에는 금 190돈(약 712.5g), 은 110돈(약 412.5g)이 사용되며, 루비·자수정 등 보석과 화려한 칠보 기법이 더해진다. 금값 상승으로 인해 금 재료비만 약 1억 3천만 원(10월 29일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참고로 문재인 전 대통령 부부가 퇴임 당시 수여받은 무궁화대훈장의 제작비는 세트당 약 6,823만 원이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선물이 트럼프 대통령의 ‘황금 애호’ 성향을 고려한 외교적 세심함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특히 전날 일본의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황금 골프공’을 선물한 바 있어, 동북아 외교 무대에서의 상징적 경쟁이 주목받고 있다.
31-10-2025 공지사항
photo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음모 및 권한 남용 혐의로 법정 출석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음모 및 권한 남용 혐의로 법정 출석 10월 30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약 4개월 만에 내란 음모 및 권한 남용 혐의와 관련된 첫 재판을 위해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출석했다. 이날 재판은 오전 10시 15분에 시작되었으며, 윤 전 대통령이 ‘내란 음모의 주도자’로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와 공무 집행 방해 혐의를 중심으로 심리가 진행되었다. 윤 전 대통령이 법정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지난 7월 3일 이후 처음이다. 윤 전 대통령은 남색 정장과 흰 셔츠 차림으로 서류철을 들고 법정에 입장했다. 재판부는 개정에 앞서 “피고인이 오늘은 출석했으나, 이전 불출석으로 인한 모든 불이익은 피고인 본인이 감수해야 하며, 향후 불출석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경고했다.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은 내란죄에 관한 특별검사법 조항 중 ‘공개 생중계 의무화’ 규정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변호인단은 “재판의 목적과 무관하게 여론의 선동만을 초래한다”고 주장하며, 해당 조항의 위헌 여부를 헌법재판소에 심사 청구한 상태다.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곽종근 전 육군 특전사령관은 탄핵 과정 중 국회와 헌법재판소에서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의원을 제거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증언한 바 있다.
31-10-2025 공지사항
photo

한·일·미 관세 협상 이후, 두 나라의 엇갈린 길

한·일·미 관세 협상 이후, 두 나라의 엇갈린 길 – 일본은 ‘정치적 투자’를 택했고, 한국은 ‘실질적 자율성’을 확보했다 한·일 양국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마친 직후, 두 나라의 운명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갈라졌다. 일본은 미국이 주도하는 투자 구조와 수익 배분 방식을 그대로 수용한 반면, 한국은 경제 규모가 더 작음에도 불구하고 환율 안정 메커니즘을 통해 투자 주도권을 확보하는 전략적 균형을 이루어냈다. 이는 단순히 ‘통화 가치’의 문제가 아니라, ‘조건의 차이’가 외교의 본질을 결정한 사례였다. 일본 정부는 미국에 5500억 달러 규모의 일회성 금융 지원 패키지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겉으로는 민관 협력 구조를 띠었지만, 실제 투자 결정권은 전적으로 미국 측에 있었다. 수익 배분 비율은 1대9로 설정되어, 사실상 미국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구조였다. 이 같은 구조는 트럼프 행정부가 선호하는 ‘즉각적 자금 투입(injection)’ 모델로, 미국 내 제조·에너지·국방 프로젝트에 신속히 자금을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이었다. 그러나 일본 입장에서는 이는 단기적 정치적 호의를 얻기 위한 ‘정치적 투자’에 불과했다. 투자 규모와 속도는 크지만, 일본의 정책적 자율성은 그만큼 축소되었다. 결국 일본은 미국 내 ‘투자자’의 역할만 남게 되었고, 전략적 선택권은 상실했다. 미 재무부가 “일본의 신속한 대응은 동맹의 신뢰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평가한 것은, 실질적으로는 종속적 협력 모델에 대한 찬사에 가까웠다. 반면, 한국은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협정을 체결했다. 이 중 2000억 달러는 현금 투자, 1500억 달러는 조선 및 해양 분야 협력으로 구성되었다. 투자금은 10년에 걸쳐 연 200억 달러씩 분할 지급되며, 환율 변동 시 투자 시점과 금액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미국 측의 ‘신속 투자’ 요구를 일정 부분 충족하는 방어적 유연 구조로 평가된다. 더 주목할 점은, 한국이 **투자 결정권을 유지하며 이익 배분 비율을 50:50(원금 회수 전 기준)**으로 설정했다는 것이다. 원금 회수 이후의 수익 배분은 추가 협상 중이지만, 이 자체만으로도 ‘동맹 속의 자율성’을 지키려는 한국의 의지를 보여준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규모는 일본의 5500억 달러 패키지와 비슷하지만, 환율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구조를 조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이 단기 정치적 유리함보다 실질적 균형과 지속 가능성을 우선시했음을 보여준다. 한·일 양국 모두 미국의 관세 정책 변동 속에서 자국 산업을 보호하고자 했지만, “누가 주도하는가”라는 질문에는 전혀 다른 답이 나왔다. 일본이 미국의 ‘전략적 하청업체’로 행동했다면, 한국은 ‘상호 연합’ 모델을 선택했다. 여기서의 협력은 이익이 세밀히 계산되고, 균형 있게 배분되는 구조다. 도쿄는 단기 정치적 효율성을, 서울은 장기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택했다. 비록 시간이 더 걸리고 불안정한 과정을 거쳤지만, 한국은 국가 이익을 지키는 외교적 실용주의의 모범을 보여주었다. 특히 조선·에너지 분야를 협력 항목에 포함한 것은 단순한 투자 유치가 아니라,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실질적 산업 동맹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였다. 일본의 ‘재정 패키지’가 외교적 상징에 그친 반면, 한국의 ‘산업 연계 협정’은 기술·일자리·이익이 국내로 환류되는 구조를 만들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누가 더 많이 냈는가”가 아니라 “누가 더 많이 얻었는가”**이다. 한국은 금융·산업의 자율성을 지켰고, 일본은 단기 정치적 점수만을 얻었다. 5500억 달러의 ‘즉시 지급’과 3500억 달러의 ‘관리형 투자’의 차이는 단순한 돈의 문제가 아니라, 21세기 동아시아 경제외교 질서를 재편한 분기점으로 기록될 것이다.
31-10-2025 공지사항
photo

엔비디아 CEO·삼성·현대차 총수, 서울 ‘치맥 회동’으로 화제

세계 IT 업계를 대표하는 세 거물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 이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한 치킨집에서 ‘치맥 회동’을 가져 국내외 관심을 모았다.
31-10-2025 공지사항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