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개월 아기, 장난감 자석 33개 삼켜 소장 절제 수술

생활 이야기

23/06/2025 09:34

한국에서 23개월 된 남자아이가 장난감 자석을 삼킨 뒤, 소장 10cm를 절제하는 긴급 수술을 받았습니다.

6월 19일, 건양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이 남아는 약 일주일 전 복통과 호흡 곤란을 호소하며 병원에 내원했으며, 손에는 자석 장난감을 쥐고 있었습니다.

복부 엑스레이(X-ray)와 CT 촬영 결과, 지름 약 5mm 크기의 자석 여러 개가 서로 달라붙어 팔찌나 긴 목걸이 형태로 연결돼 있는 것이 발견됐습니다.

의료진은 자석들이 장 내벽 양쪽에서 강하게 서로를 끌어당기면서 장을 압박해 천공(구멍)을 유발했고, 이로 인해 복통, 발열, 복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아이는 즉시 수술실로 옮겨져 안전하게 이물질을 제거했습니다. 수술을 통해 총 33개의 작은 구슬 형태의 자석 장난감이 아이의 뱃속에서 꺼내졌습니다.

Ảnh chụp X-quang các viên nam châm tròn trong bụng bệnh  nhi (trái) và khi được gắp ra ngoài (phải). Ảnh: Segye 환아의 뱃속에 있던 자석의 엑스레이 사진(좌)과 수술 후 꺼낸 자석(우). 사진 출처: 세계일보

수술을 집도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연희진 교수는 손상된 소장 약 10cm를 절제하고, 파열된 부위를 봉합했습니다. 다행히 아이는 빠르게 회복해 6월 17일에 퇴원했습니다.

최근 5년간 한국에서는 매년 약 2,000건에 달하는 14세 미만 어린이의 이물질 삼킴 사고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전체 이물질 사고의 82.2%가 1~6세 아동에게 발생했으며, 절반 가까이가 장난감으로 인한 사고였습니다.

연희진 교수는 "대부분의 이물질은 자연스럽게 배변을 통해 배출될 수 있지만, 자석, 건전지, 워터비즈(물에 불어나는 구슬), 날카로운 물체 등은 장에 심각한 손상을 주거나 위험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며 "아이들이 이러한 물체를 삼킨 것으로 의심될 경우, 신속히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40대 한국인의 주요 사망 원인, ‘자살’이 암 제쳐

한국은 자살 문제의 심각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특히 경제·사회적으로 핵심 연령대인 40대에서 자살이 가장 큰 사망 원인으로 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01-10-2025 생활 이야기
photo

한국, 33년 만에 문신 합법화

1992년부터 한국에서는 문신 시술을 의료 행위로 규정해 의사 면허가 있는 사람만 문신 시술을 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수많은 문신 예술가들이 사실상 ‘불법’ 상태에서 활동하거나 해외로 나가야 했다.
01-10-2025 생활 이야기
photo

한국 숙취해소제 시장 ‘급성장’  

한국 사회에서 술자리는 일상적인 사회활동의 일부다. 이에 따라 ‘숙취 해소’ 수요를 겨냥한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통적인 해장국에서부터 현대적인 음료와 캡슐 제품에 이르기까지, 한국 숙취해소제 시장은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헛개나무(학명 *Hovenia dulcis*)가 자리 잡고 있다.  
30-09-2025 교류 및 생활
photo

저출산, 한국 경제 기적에 먹구름

한국의 합계출산율 하락세가 노동력 축소로 이어지면서 성장률, 생산성, 연금제도 전반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30-09-2025 생활 이야기
photo

화장실에 설치된 CCTV 화면 논란… 개인정보 침해 우려

화장실에 설치된 CCTV 화면 논란… 개인정보 침해 우려 지난해 말 한국도로공사는 전국 177개 휴게소 화장실에 700여 대의 모니터를 설치하는 데 3억9천만 원을 투입했다. 화장실을 이용하는 동안 주유 중인 차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설치 목적이었다. 일부 운전자는 급한 상황에서 유용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반년 만에 다수의 민원이 제기됐다. 카메라 화면에 차량뿐 아니라 사람들이 그대로 노출되면서 개인정보 침해와 사생활 침해 우려가 커진 것이다. 한 화물차 기사는 “화장실에 있는데 모니터로 다른 사람이 보이는 게 불쾌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법률 자문 결과, 해당 시스템은 범죄 예방 목적이 아닌 편의 제공에 불과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국회는 도로공사에 즉각적인 개선을 요구했으며, 민홍철 의원은 “정부로부터 1조 원이 넘는 지원금을 받으면서도 보안 검토를 소홀히 했다”고 비판했다. 이후 도로공사는 모든 카메라 영상 송출을 중단했다. 일부 모니터는 철거됐으며, 남은 장비는 교통안전 홍보 영상을 송출하는 용도로 전환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28-09-2025 교류 및 생활
quang-c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