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언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새로운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이후 소비자들이 한국 화장품을 대거 구매하고 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4월 10일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인용해 한국산 선크림이 미국인들이 온라인 쇼핑 카트에 "미친 듯이" 추가하는 품목 목록에 포함되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애틀랜틱, 얼루어, 보그 잡지 또한 관세가 미용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레딧에서는 한국산 선크림이 특히 인기가 많았으며, 가격 인상 전에 구매해야 할 품목에 대한 토론 주제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가볍고 미국 제품보다 효과가 뛰어나다는 이유로 이 제품을 비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규모 구매는 한국이 미국으로부터 25%의 보복 관세를 부과받은 상황에서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은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 대해 7월 8일까지 90일 동안 이 정책을 유보했습니다.
한국 무역부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액은 2024년에 102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2020년부터 매년 20% 이상 성장했습니다. 미국은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수출 시장입니다.
삼성증권이 2025년 1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산 선크림 제품만으로 전자상거래 매출이 4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리아헤럴드는 4월 17일 한국의 두 주요 제조업체인 콜마코리아와 코스맥스가 관세 조치를 피하기 위해 미국 내 공장 생산 능력을 두 배 또는 세 배로 늘리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서울에서는 미국에 공장이 없는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 등 두 대형 국내 제조업체가 가격 조정 전에 상황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더페이스샵과 후를 소유한 LG 관계자는 관세가 매출에 영향을 미치며 협상 결과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설화수, 라네즈, 이니스프리를 소유한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2024년에 미국 시장이 중국 시장을 넘어섰습니다. 아모레퍼시픽 김승환 대표는 향후 5~10년 내 미국 공장 건설 계획을 "더욱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조나단 코 씨는 더 높은 가격이 관세 전쟁의 불가피한 결과라고 말했습니다. "불행히도 우리는 더 많은 돈을 지불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습니다. 모두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vnexpress.net 제공